A huge collection of 3400+ free website templates, WP themes and more http://jartheme.com/ at the biggest community-driven free web design site.

민족사랑

제임스 H. 헤어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1905)

2024년 6월 28일 110

[소장자료 톺아보기 59] 제임스 H. 헤어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1905) A photographic Record of the Risso-Japanese War 제임스 H. 헤어(James H. Hare)의 『러일전쟁의 사진 기록 A Photographic Record of the Russo-Japanese War』은 1905년 뉴욕의 P.F. Collier & Son 출판사에서 초간 되었고, 2013년에 재출간되었다. 러일전쟁의 전 과정을 250여 장의 사진에 담아낸 전쟁화보로서 사진 저널리즘 분야의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등과 모서리에 가죽을 사용한 고급 양장본이며 세로가로 27×40cm의 큰 판형으로 총 256쪽이다. 이 책은 14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의 앞 부분에는 각 전투의 경과와 의미를 간략히 서술하고 이어서 관련 화보를 수록한다. 각 장 제목은 다음과 같다. 1.러일전쟁의 원인  2.첫번째 전투 3.러시아의 전쟁 준비          4.조선에서 일본인과 함께 5.러시아군의 전선으로 진군 6.압록강 전투와 일본의 진격 7.여순항 포위전 개시  8.요양(遼陽) 전투 직전의 개전 준비 9.요양 전투    10.전쟁의 기록자들 11.사하(沙河) 전투 12.여순항 함락 13.러시아 해군력의 종말 14.봉천 전투 여기에 수록된 사진화보는 제임스 헤어를 비롯해 Victor K. Bulla, Robert L. Dunn, James F. Archibald, Richard Barry, Ashmead Bartlett, James Ricalton 등 총 7명의 사진작가가 러시아와 일본으로 파견되어 양국 군대에 종군하여 직접 촬영한 것이다. 따라서 러일전쟁과 관련한 일본측 전쟁화보집과는 달리 제3자로서의 객관적 시각으로 전쟁 상황을 상세히 담아냈다는 점에서도 이 전쟁화보집이 갖는 의의가 남다르다. 또한 이 화보집이 전쟁의

민족사랑 2024년 6월호

2024년 6월 24일 380

[바로보기] * 왼쪽 바로보기로 들어가셔서 표지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혁명성지 순례: 간도 신흥학교 회억(回憶) ①

2024년 5월 31일 105

[자료소개] 혁명성지 순례: 간도 신흥학교 회억(回憶) ① 이번에 소개하는 자료는 조선민족혁명당의 선전 주간지 『앞길』에 실린 「혁명성지 순례: 간도 신흥학교 회억」이다. 이 글은 1937년 3월~5월 사이 제4호부터 제14호까지 총 11편이 연재되었으나 현재 4편의 결락본(4호, 8호, 9호, 12호)이 있어 여기서는 7편만 수록하였다. 일부 한자투는 현대어로 풀어 썼고 판독되지 않는 글자는 □로 표시하였다.―편집자 주 간도 신흥학교 회억-1,000여 명 조선건아가 복수의 검을 갈던 곳(2) 조국광복의 위대한 사업을 준비 실행함을 기약하며 혁명 청년과 군중을 양성 훈련한 책무를 자임한 지도인물인 그 선생네가 전 가족을 거느리고 새책원지(策源地)로 이주함은 얼핏 보고 잘못 생각하면 한 큰 실책이며 또는 피란을 겸하여 위함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없지 아니 하리라마는 그네들은 당시 사회 정도에 있어서 내외국의 정세에 매우 통달하고 신구 교체 시기의 제반 사회상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는 선각자들이었다. 구구한 자기 가족의 안전을 위하는 피란을 겸(兼)코지 함도 아니오, 또 그 자신의 행동에 허물됨이 없지 아니할 것도 잘 아는 바이었다. 그러나 그분네가 그와 같이 가족을 이끌고 □가 이주함은 두 가지의 큰 결심과 고충이 있는 것이었다. 첫째는 자기네가 조국광복의 대업을 성공하기 전에는 차라리 이성의 원혼이 될지언정 적의 굴레와 유린하에 있는 고토(故土)를 다시 밟지 않고자 함이며 둘째는 자기네의 다정하고 사랑하는 부모, 형제, 처자들로 얼마 동안이나마 적 일본의 노예됨을 차마 보지 못하겠는 까닭이었다. 이 얼마나 확고한 결심이며

단양역 앞으로 다시 옮겨진 ‘경경선 전통지지 기념비(1942년)’

2024년 5월 31일 110

[이 땅에 남아있는 저들의 기념물 8] 반도종관철도인 ‘중앙선’이 막바지에 ‘경경선’으로 이름이 바뀐 연유는? 단양역 앞으로 다시 옮겨진 ‘경경선 전통지지 기념비(1942년)’ 이순우 특임연구원 생각건대 본선(本線)은 반도중앙부(半島中央部)를 종관(縱貫)하여 자원개발(資源開發)에 기여(寄與)하고 또 부산경성간(釜山京城間)의 보조간선(補助幹線)으로서 경부본선(京釜本線)의 수송(????送)을 완화조절(緩和調節)하여써 대륙경로(大陸經路)를 증강(增强)할 뿐 아니라 반도(半島)의 철도망 완성(鐵道網 完成)을 촉진(促進)하고 나아가서는 대동아권내(大東亞圈內)에 있어서 조선(朝鮮)의 지위직능(地位職能)을 확립확충(確立擴充)케 하는 것으로 실(實)로 조선교통사상(朝鮮交通史上)에 일신기원(一新紀元)을 획(畫)하는 것이라 할 수 있어 본선(本線)의 사명(使命)이야말로 매우 중대(重大)하다. 이것은 1942년 4월 1일에 경북 안동역 구내에서 거행된 경경선(京慶線, 통칭 ‘중앙선’) 전통식(全通式)에서 미나미 총독(南總督)이 고사(告辭)를 통해 설파한 내용이다. 여기에는 이른바 ‘조선반도 제2의 종관선(縱貫線)’이라 일컫는 경경선을 개설하여 이를 경부선 철도의 보조 선로로 활용하고자 했던 의도가 잘 드러나 있다. 또한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걸친 내륙 오지(奧地) 쪽의 자원개발을 촉진함과 아울러 장차 내선만지간(內鮮滿支間; 일본, 조선, 만주, 북중국 사이)의 최단첩로(最短捷路)를 형성하는 조선 철도의 위상과 기능을 크게 강화한다는 뜻을 동시에 담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반도의 내륙을 종단(縱斷)하여 관통하는 철도를 부설하려던 구상은 일찍이 이른바 ‘총독정치’가 막 개시되던 1910년대 초반부터 구체화하던 것이었는데, 『매일신보』 1912년 8월 31일자에 수록된 「중앙선(中央線)의 계획(計劃)」 제하의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채록되어 있다. 마산(馬山)을 기점(起點)으로 하고 대구(大邱)로부터 충주(忠州)를 경(經)하여 경성(京城)에 지(至)하는 도(道) 중앙선(中央線)은 기(旣)히 철도국(鐵道局)의 예정선(豫定線)인데 차등(此等) 부설(敷設)의 완급(緩急)은 대구(大邱)는 물론(勿論)이오 각지(各地)에 다대(多大)한 영향(影響)이 보급(普及)하고 조선계발상(朝鮮啓發上) 중요(重要)한 문제(問題)인 고(故)로 신일(晨日) 대구상업회의소연합회(大邱商業會議所聯合會)에 제의가결(提議可決)

장석천이 일제 당국의 심문에 대처하는 법

2024년 5월 30일 143

[연구소 글방 13] 장석천이 일제 당국의 심문에 대처하는 법 –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킨 장석천의 심문 투쟁 조한성 출판팀장 1929년 11월 전남 광주에서 두 차례의 큰 학생시위가 벌어진 후의 일이다. 일제 공안 당국은 광주의 시위가 전국으로 퍼져나갈까 봐 전전긍긍했다. 이들은 보도 검열을 통해 광주에서 벌어진 두 번째 시위에 대한 보도를 완전히 틀어막았다. 그 흔적이 당시 일간지에 고스란히 남았다. 그들은 이 후에도 강력한 보도 통제를 실시해 언론사들이 광주 시위 관련 기사를 싣는 것은 원천적으로 봉쇄했다. 『동아일보』는 독자들의 요청에도 광주 시위 관련 보도를 할 수 없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전남 광주 사건에 대하여 독자 제씨로부터 지금 형편이 어찌 되어 있는가를 여러 번 물으시나, 이 사건은 경무 당국으로부터 신문을 게재하지 말라는 경고가 있으므로 당분간 부득이 보도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동아일보』1929.11.16) 일제가 사건의 보도를 막자 조선 사회는 크게 동요했다. 애초에 광주의 시위가 조선인의 민족감정을 건드리면서 발생한 데다가, 사건을 수습하는 과정에서도 조선인 학생만 과도하게 처벌해 분노를 산 상태였다. 그런데 사건 보도마저 틀어막자 “일본인 의용소방대가 학생들을 학살했다더라”, “나이 어린 보통학교(지금의 초등학교) 학생들까지 폭행했다더라” 같은 온갖 흉흉한 소문이 나돌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조선 사회의 여론은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었다. 사건이 벌어진 것은 바로 그때였다. 전국으로 퍼져나간 시위 1929년 12월 3일 새벽 경성제국대학을 비롯한 시내 전문학교, 고등보통학교 등 각급 학교에

민족사랑 2024년 5월호

2024년 5월 29일 245

[바로보기] * 왼쪽 바로보기로 들어가셔서 표지의 각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강원도 고성군의 홀로 회원, 함명준 군수

2024년 5월 29일 116

[인터뷰] 강원도 고성군의 홀로 회원, 함명준 군수 방학진 기획실장 우리 연구소가 33년 동안 이어지다 보니 10년, 20년은 물론 30년 가까이 후원해 주시는 회원분들이 많다. 우리나라 17개 광역단체와 226개 기초단체에 고르게 회원님들이 분포되어 있는데 전국적인 회원 분포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 2,585, 경기 2,495, 광주 557, 부산 521, 인천 513, 충남 469, 경남343, 전남 324, 대구 321, 경북 313, 대전 312, 강원 264, 전북 253, 충북253, 울산 140, 제주 127, 해외 126명, 세종 94(2023년 말 기준) 그러나 회원이 226개 모든 기초단체에 있는 것은 아니며 단 한 명의 회원도 없는 지역도 더러 있다. 한 지역에 홀로 있는 회원은 더욱 소중하다. 그래서 10여 년 전에 ‘홀로 회원’들에게 전화로나마 인사도 드리며 절대 탈퇴하시면 안된다고 당부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강원도 고성군에는 우리 연구소 회원이 딱 한 명뿐이다. 그래서 그 회원의 이름은 잊지 않고 늘 기억하고 있었다. 그런데 2020년 강원도 고성군수 재보궐선거 당선자로 낯익은 이름을 보게 되었다. 함명준. 고성군에 유일한 민족문제연구소 회원이 군수로 당선된 것이다. 우리 연구소 회원 중에는 국회의원, 시장, 군수 등 정치인이 없지 않지만 한 지역에 유일한 회원이 군수에 당선되다니 신기했다. 함명준 군수는 2004년 3월 22일 우리 연구소 회원에 가입하기 전 약 15년 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일했고 이후 짧게 건설업에 종사했다. 어떤 계기로 우리 연구소의 문을

초국적 시민 연대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K History Schoolhouse 프로그램 진행

2024년 5월 29일 73

[초점] 초국적 시민 연대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K History Schoolhouse 프로그램 진행 2024년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 4주에 걸쳐 매주 토요일에 K History Schoolhouse 프로그램이 영어로 진행되었다. 좋은세상연구소와 민족문제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이 프로그램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쟁점들을 국제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주의, 평화, 정의를 위한 초국적 연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서 대학생, 대학원생, 연구자, 교수, 교사, 시민단체 활동가 등 25명의 참가자들이 등록하여 세 번의 강연과 워크숍 세션을 거친 후 투어에 참가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이 이끈 식민지역사박물관 투어를 통해 일제강점기의 역사적 상황을 살펴본 후, 헨리 임 연세대 교수가 “남북한의 탄생과 한국전쟁”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후 리사 민 연세대 교수가 이끈 프리라이팅 워크숍에서 자신의 정치적 신념이 형성된 순간, 프로그램에 참가한 이유, 박물관 투어와 강연에 대한 생각 등에 대해 글을 쓴 후 서로 내용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좋은 세상연구소 대표인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가 “한국의 반공주의와 독재”에 대해 강연한 후 워크숍에서 참가자들이 미리 제출한 과거나 현재의 전쟁, 전쟁을 정당화하는 주장, 또는 민주주의나 반전평화운동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들을 살펴보며 그 주장과 이미지들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을 논의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서재정 국제기독교대 교수의 “선제 공격 독트린과 동북아 전쟁 위기” 강연 후 워크숍에서 노기 카오리

어린이 역사동화 원화전 ‘사할린 아리랑’

2024년 5월 29일 79

[초점] 어린이 역사동화 원화전 ‘사할린 아리랑’ 근현대사기념관은 어린이 역사동화 원화전 ‘사할린 아리랑’을 5월 4일(토) 개막하여 12월 31일까지 진행한다. 전시는 서울시 강북구와 민족문제연구소가 공동주최하고 (사)한국 민족미술인협회 후원으로 근현대사기념관이 주관하였다. 개막식에는 (사)한국민족미술인협회 이승곤 이사장, 어린이 역사 동화책 『사할린 아리랑』을 쓴 정란희 작가, 그림을 그린 양상용 작가, 어린이 15명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개막행사 <작가와의 만남>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동화책 읽기, 작가와의 대화, 사인회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전시 ‘사할린 아리랑’은 어린이 역사동화 원화전으로 일제강점기 때 러시아 사할린에 강제로 끌려갔던 조선인들의 아픔이 담긴 이야기다. 주인공 흥만이를 태운 배를 형상화하여 동화책을 전시하였다. 이외에도 양상용 작가의 원화 작품과 스케치 작품을 볼 수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어린이들이 우리의 아픈 역사를 알아보고 마음속에 새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근현대사기념관 학예연구사 정햇살 [초점] 근현대사기념관, 늦봄 문익환 30주기 특별전 연계 강좌 및 탐방 근현대사기념관은 늦봄 문익환 30주기 특별전과 연계하여 시민과 학생을 대상으로 강좌 및 탐방을 5월 11부터 6월 22일 격주 토요일 총 4회에 걸쳐 진행한다. 강좌는 지난 5월 11일과 25일에 1강 ‘늦봄 문익환의 삶과 신앙’(장원석 근현대사기념관 학예실장)과 2강 ‘나의 아버지 문익환’(문영금 통일의 집 관장)을 진행했다. 3강 ‘통일운동의 선구자 늦봄 문익환’(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은 오는 6월 8일 개설된다. 한편 연계 탐방으로 문익환 관련 유적지를 답사한다. 문익환이 마지 막까지 살았던 통일의

『일본만세 백찬백소(日本萬歲 百撰百笑 : 청일전쟁편』

2024년 5월 29일 178

[소장자료 톺아보기 58] 중국·중국인 멸시관을 노골적으로 부추기는 전쟁 만화 『일본만세 백찬백소(日本萬歲 百撰百笑 : 청일전쟁편』 [작품 설명] ② 밟아 부수기 노래(踏潰しの歌) 일본군 병사가 풍도, 아산, 평양에서 청국 함대와 청국 군대를 밟아 부수고 이제 만주와 북경으로 향하고 있다. 변발한 청국인은 털썩 주저앉아 일본군의 엄청난 기세에 눌려 속수무책으로 울고 있을 뿐이다. ③ 지옥의 대번창(地獄の大繁昌) 지옥에서 염라대왕이 풍도해전과 성환·아산전투에서 전사한 청국 병사들을 문초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자신의 이름이 ‘도자에몬(土左衛門)’ – 일본 설화에서 土左衛門은 무쓰국(陸奧國) 출신의 스모 선수였는데 그 몸이 매우 비대하였다. 그 모습이 물에 빠진 사람들의 배가 가스로 가득차 온몸이 부풀어 오른 자태와 비슷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당시 일본인들은 익사자를 가리켜 土左衛門이라 일컬었다고 한다.이라고 한다. – 너무 많은 전사자들이 몰려와 7일 밤낮을 조사하는데 나중에는 황해전투 사망자까지 떼지어 들어왔다. 염라대왕은 이 사망자들의 나라 이름이 死國이라 규정했다. 여기서 死國(しこく)은 곧 淸國(しんこく)으로 발음이 비슷한 것에 착안한 언어유희다. 이렇듯 청국의 전사자는 모두 지옥으로 간다는 설정과 ‘도자에몬=익사자’라는 명칭으로 청국과 청국 병사를 신랄하게 멸시하고 비하하였다. ④ 이홍장의 대두통(李鴻章の大頭痛) 청일전쟁 당시 직예총독(直隸總督)이자 북양대신(北洋大臣)이었던 이홍장은 연일 들려오는 청국의 패전 소식에 심한 두통을 앓고 있다. 수면제를 먹고 잠시 눈을 붙이려 해도 꿈속에서까지 일본군이 나타나 자신을 괴롭히자 처음부터 일본에 항복했더라면 하고 후회한다. ⑤ 패퇴한 장군(御敗將) 청국 장군이 여장을 한 채 화장하면서 “여인의 모습으로 적군을 물리쳤다는 이야기는 있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