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보
[화보] 민족문제연구소 2017년 정기총회(3.4)
▲ 총회 참가자 등록 ▲ 총회 참가자 등록 ▲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 함세웅 이사장의 개회사 ▲ 강만길 전 상지대 총장의 격려사 ▲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의 축사 ▲ 이부영 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장의 축사 ▲ 임헌영 소장의 인사 ▲ 총회 의사를 진행하는 임헌영 소장 ▲ 2016년 사업보고 ▲ 최수전 감사의 2016년 업무감사 보고 ▲ 임명호 감사의 2016년 회계감사 보고 ▲ 2017년 사업계획 보고 ▲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관련 특별 보고 ▲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관련 특별 보고 ▲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 관련 말씀을 하시는 이이화 건립위원장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를 합창하는 총회 참가자들 ▲ 신임운영위원 : 서울서부지부 김방원, 광부지부 김순흥, 서울동부지부 김재운, 경기북부지부 이희주(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 신임운영위원 : 전북지부 김재호, 경기동북지부 김희원, 경기안산시흥지부 심우일, 서울관악동작지부 송진복(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 신임운영위원 : 경기수원지부 이달호, 대전지부 박해룡, 경기고양파주지부 서승의, 서울중부지부 최무희(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 신임운영위원 : 경기부천지부 박종선, 경기동부지부 허남해, 운영위원장(인천지부) 이민우, 경기과천의왕지부 홍석경(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 신임운영위원 : 충남지부 권희용 ▲ 이민우 신임운영위원장의 인사 ▲ 공로패 수여 : 김문수 서울시의회 의원 ▲ 공로패 수여 : 이재준 경기도의회 의원 ▲ 공로패 수여 : 차영조 회원 ▲ 공노패 수여 : 김옥남회원, 김영희 회원 ▲ 전임운영 위원 공로패 수여 : 대전지부 이순옥, 경기북부지부 김재광, 경기부천지부 최일남, 경기고양파주지부 최영봉(좌측 상단부터 시계방향) ▲ 전임운영 위원 공로패 수여 : 충남지부
[화보] 임종국 선생 27주기 추모식 및 조형물 제막식
11월 13일 오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 신부공원에서 ‘임종국 선생 27주기 추모식 겸 조형물 제막식’을 했다. 임종국 선생 조형물건립추진위원회(위원장 이용길·이하 추진위)는 천안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돼 평화공원으로 불리는 신부공원에 임종국 선생의 생전의 모습을 토대로 한 흉상과 역사의 펜을 잡고 있는 팔을 형상화한 조형물 제막식을 가졌다. 흉상의 기단 정면에 ‘영광의 기록만이 역사는 아니다’는 글귀가 새겨졌다. 임종국 선생 조형물은 평화의 소녀상 작가인 김서경, 김운성 작가가 만들었다.
[화보] 제10회 임종국상 시상식 (11.11)
[화보] 서전서숙 학술대회 (10.26)
[화보]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8.15)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정오 서울 강북구에 위치한 근현대사기념관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정오 서울 강북구에 위치한 근현대사기념관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이 열렸다 ▲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개식 (사회: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국민의례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국민의례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여는말씀(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박겸수 강북구청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박문수 강북구의회의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천준호 더불어민주장 강북갑 지역위원장)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말씀(김성훈 강북마을대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축하공연(청년공동체 메이커스) ▲ 15일 강북구 수유동 근현대사기념관 앞마당에서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을 갖고 있다. ▲ 박겸수 강북구청장이 기념비 설치배경 등을 설명하고 있다. ▲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이 기념비 의의와 앞으로 바램을 이야기 하고 있다 ▲ 네티즌 모금운동을 촉발시킨 ‘역사정의를생각하는네티즌들’ 유정호 대표 ▲ 독립민주기념비를 제작한 부부조각가 김운성, 김서경 씨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 – 김운성, 김서경 작가의 작품 설명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서울 강북구 근현대사기념관에 들어선 ‘독립민주기념비’ 모습 ▲ 제71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강북구 수유동 근현대사기념관 앞마당에서 박겸수 강북구청장과 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등이 독립민주기념비 제막식을 갖고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화보] 부민관 폭파의거 71주년 기념행사 및 답사 (07.23)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 민족문제연구소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가운데 민족문제연구소 함세웅 이사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이 독립지사들의 정신을 기리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린 가운데, 조문기·유만수·강윤국 지사를 기리며 당시 상황을 재연한 영상을 상영하고 있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민족문제연구소 ▲ 23일 서울시의회(옛 부민관)에서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천지일보(뉴스천지)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 부민관 폭파 의거 71주년 기념답사 ⓒ 민족문제연구소
[화보] 민족문제연구소 2016 회원수련회
2016년 6월 18일 ~ 19일, 1박 2일 일정으로 의병의 고장 충북 제천에서 ‘민족문제연구소 2016 회원수련회’가 열렸습니다. 숭고한 의병 정신을 통해 역사와 정의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자리였으며 전국에서 오신 회원들과 교우하는 자리였습니다. (촬영 : 경기북부 장이근 회원)
[화보] 개성공단 입주기업인과 함께하는 DMZ 평화기행(6.11)
▲ 남북합작 성당인 참회와속죄의성당을 설명하는 성당 사무장님 ▲ 남북합작성당인 참회와속죄의성당을 설명하는 성당 사무장님 ▲ 참회와속죄의성당 입구 ▲ 성당앞 단체사진 ▲ 장준하공원에서 설명하는 방학진 사무국장 ▲ 장준하선생 묘소 앞에서 ▲ 장준하선생 묘소 앞에서 ▲ 장준하공원 앞에서 포즈를 취하는 부천지역아동센터 학생들 ▲ 임진각에 전시된 6.25당시 파괴된 기관차 ▲ 통일을 염원하는 수많은 리본들 ▲ 통일촌식당 식단 ▲ 통일촌식당에서 식사하는 참가자들 ▲ 통일촌식당에서 식사하는 참가자들 ▲ 도라산전망대에서 바라본 DMZ ▲ 도라산전망대에서 멀리 개성공단을 바로보는 참가자들 ▲ 도라산전망대 앞에선 이종문 회원 ▲ 매일 개성공단을 오가던 버스. 지금은 운행을 못하고 서있다. ▲ 도라산역 앞에서 단체사진 ▲ 도라산역 앞에서 단체사진 ▲ 개성공단기업협회 김서진 상무 ▲ 개성공단기업협회 김서진 상무와 이동호 부천지부 부지부장(오른쪽) ▲ 질문하는 오형민 초대 부천지부장
[화보] 네티즌 모금, 독립·민주·통일 상징조형물 건립 협약식(3.2)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서울 강북구 박겸수 구청장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민족문제연구소 함세웅 이사장 상징조형물 건립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는 ‘역사정의를 생각하는 네티즌들’ 김윤민 대표 상징물 구상에 대한 설명을 하는 김운성 작가 협약서에 서명을 하는 단체 대표들 ‘역사정의를 생각하는 네티즌들’이 모금한 기금 전달 협약식과 기금 전달식 기념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