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림
[해피빈모금] 독일에서 한국민주화에 헌신한 분들을 모시고자 합니다
※ 해피빈 모금 참여 서독에서 열린 3.1운동 기념식… 민건(民建)의 탄생과 재독 한인사회 3.1운동 55주년 행사가 열리던 1974년 3월1일, 서독 수도 본(Bonn)의 뮌스터 광장에 울려 퍼진 함성, “박정희 독재 타도하고 민주사회 건설하자!” 비록 몸은 독일에 있으나 박정희 유신독재로 고통받는 조국을 위해 무슨 일이라도 해야 한다는 각오로 민주화의 깃발을 든 재독 교포 55명. 해외 동포 민주화 운동의 선구가 된 ‘민주사회건설협의회'(Forum für die Demokratie Koreas, 약칭 ‘민건’)의 역사는 그렇게 시작됩니다. 파독 광부, 간호사, 유학생 등 1만여 명으로 이루어진 1970년대 재독 한인사회는 조국의 민주화를 염원하는 마음은 한결같았으나 사회운동단체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유럽을 뒤덮은 민주화와 파시즘 청산 운동에도 불구하고 유학생과 교포, 국내 인사 등 194명이 간첩 협의로 체포되어 가혹한 고초를 당한 1967년 ‘동백림(동베를린)사건’으로 재독 한인 사회는 꽁꽁 얼어붙어 있었습니다. 음악인 윤이상, 화가 이응로도 이 조작 사건에 연루되었습니다. 파독 광부 청년 임희길과 민건의 청년들 민건을 만든 55명 중 절반에 가까운 21명은 파독 간호사와 광부들. 임희길 민건동지회 대표도 그 중 한 명이었습니다. 1966년 25세의 나이에 독일 아헨으로 건너왔으나 그를 기다리고 있는건 지하 1km 수직 갱도에 세워질 40~50kg의 동발들. 막장 인생의 끝에서 인간답게 사는 세상의 의미를 깨닫고 그토록 떠나오고 싶어 했던 조국의 민주화도 갈망하게 되었습니다. 파독 광부 청년 임희길과 민건의 인연은 그렇게 시작되었습니다. 민건 창립
[전시] “Yellow Memory-역사와 나, 예술로 잇는 기억” 특별전시 (9.1~12.31)
[보도자료] [다운로드] <Yellow Memory-역사와 나, 예술로 잇는 기억> 특별전시 간토대학살 100년을 맞이하여, 민족문제연구소와 정의기억연대, 독일Art5예술협회가 주최하는 특별전시를 개최합니다. 9월 1일은 간토대학살이 시작된 날이자,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날이기도 합니다. “옐로우 메모리”-간토대학살 100년 특별전시는 ‘학살’과 ‘기억’을 키워드로 비극적 역사를 예술로 기억하는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미샤엘라 멜리안(Michaela Melián)(독일), 이창원(한국), 하전남(일본), 임흥순(한국), 이끼바위쿠르르(한국) 작가가 참여하고, 독일의 유재현(Art5 공동대표) 대표가 총감독을, 이나바 마이(일본, 현 광운대 교수) 교수가 큐레이터를 맡았습니다. 이번 전시는 아픈 역사와 지금의 현재사를 주제로 다루는 식민지역사박물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연결하여 전시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예술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역사를 마주하고 ‘기억’을 실천하는 경험을 함께 해 보시기 바랍니다. <Yellow Memory> 특별전시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기간: 2023. 9. 1.(금) ~ 2023. 12. 31.(일) (추석 연휴 및 매주 일, 월 휴관) – 작품 : 미샤엘라 멜리안(Michaela Melián): 기억(Speicher) 이창원(Changwon Lee): 두 나비(Two Butterflies) 하전남(HA Jhonnam): 깨어진 계란 속 씨앗의 꿈(The dream of the seed in the broken egg) ■ 식민지역사박물관 – 기간 : 2023.11.10.(금) ~ 2023. 12. 31(일) – 작품 : 이끼바위쿠르르(ikkibawikrrr): 기념비(Speicher), 열대이야기(Tropical Story) 임흥순(IM Heung-soon): 파도(The Waves) ■ 개막식: 2023. 9. 1.(금) 16~18시 *개막식에는 퍼포먼스와 공연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함께하는 사람들> 주최 : 민족문제연구소, 정의기억연대, 독일 Art5 예술협회 주관 : 식민지역사박물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협력 : 재독한국여성모임 ■ 학술회의
독립전쟁 영웅 흉상 철거 백지화 한민족 100만인 서명운동
독립전쟁 영웅 흉상 철거 백지화를 위한 한민족 100만인 서명운동 ☞ 바로가기 [종이서명] [다운로드] [기자회견문] 독립전쟁 영웅 흉상 철거 백지화를 위한 한민족 100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합니다! 육군사관학교가 교내 충무관 앞에 있는 항일독립전쟁 영웅 다섯 분의 흉상을 철거하는 것은 국군과 독립군, 광복군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윤석열 정부의‘역사 전쟁’입니다. 우리나라는 헌법에 따라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나라이며, 대한민국 국군은 임시정부의 군대였던 독립군과 한국광복군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는 것이 국민적 상식입니다. 육사가 독립군 양성기관인 신흥무관학교를 자신의 뿌리로 삼는 것이 육사의 정체성과 무엇이 맞지 않는다는 말입니까? 육사는 최종적으로 소련공산당 입당 경력이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은 육사 밖으로 내쫓고 나머지 네 분의 흉상 또한 육사 내 박물관으로 옮기겠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하지만 문제의 본질은 바뀌지 않습니다. 애초에 신흥무관학교 설립자 이회영, 청산리 전투의 영웅 김좌진,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청산리 전투의 영웅이자 한국광복군 참모장을 지낸 이범석 등의 흉상을 함께 철거하겠다는 계획 자체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육군사관학교의 정신적 뿌리는 국방경비사관학교로 보고 있다”고 실토했습니다. 신흥무관학교, 독립군, 광복군을 국군의 뿌리로 인정하고 싶지 않은 윤석열정권의 역사관이 그대로 드러난 것입니다. 그래서 윤석열 정부에게는 독립전쟁 영웅들의 흉상은 눈엣가시였던 것입니다. 홍범도 장군을 공산당이라며 내쫓고 나머지 네 분도 박물관에 넣어버리려는 이유가 육사의 뿌리를 다시 만주군관학교로 두기 위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
[안내] 박시백 역사만화《35년》(전7권), 《친일파 열전》 구입시 “2024년 독립운동가 달력” 증정
《35년》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