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시민역사관

1971년 5·25 총선 선거 공보물과 평화민주당의 부정선거 획책방지 전단지(1987)

59

[소장자료 톺아보기 71]

1971년 5·25 총선 선거 공보물과
평화민주당의 부정선거 획책방지 전단지(1987)

이번 호에 소개할 자료는 심정섭 연구소 지도위원의 기증자료의 하나로 1971년 5·25 총선 선거 공보물 8점과 평화민주당의 부정선거 획책방지 전단지이다. 최근 무사히 끝난 6·3 대통령선거에 즈음하여 소개할 가치가 있는, 시의적절한 기증자료라 생각된다.

1971년은 대선과 총선이 한 달 남짓 간격으로 치러진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해였다. 1969년 3선개헌 이후 장기 집권을 꾀하는 박정희 정권·민주공화당과 이를 견제하려는 신민당이 대선과 총선을 놓고 치열하게 경합했다. 4월 27일 치러진 제7대 대선에서 박정희 후보가 야당의 김대중 후보에 94만 표 차이로 근소하게 승리했지만 야당과 시민사회의 민주화 열기가 만만치 않음을 보여주었다. 총선에서도 그 여세를 몰아 신민당이 89명(지역구 65명, 전국구 24명)을 당선시켜 여당인 민주공화당의 113명(지역구 86명, 전국구 27명)에 비해 24명이라는 근소한 차이로 좁혔다. 또한 ‘여촌야도(與村野都)’ 현상이 뚜렷해 도시와 농촌 간의 정치 성향 괴리가 극명했으나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야당에 대한 지지가 확산되면서 정권교체의 가능성을 열었고 민주화 세력의 역량이 한층 강화되어 갔다.

전북 제5지역 선거구(진안군)와 전남 제7지역 선거구(담양·장성군)에서도 여촌야도 현상이 반영되어 두 선거구 모두 민주공화당 후보인 전휴상, 고재필이 당선되었다. 두 선거구의 득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지역이었던 진안과 담양·장성에서 여당이 각각 60%, 53%로 과반을 넘겼다. 하지만 담양·장성 선거구에서 나타나듯이 전라도에서 양당 대결로 가면 53% 대 47%로 차이가 좁혀짐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담양·장성 선거구 당선자인 고재필(1913~2005)은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 인물로 1939년 12월 만주국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1941년 안둥시 사무관에 발탁되어 1945년 8월 만주국 패망 때까지 국무원 전매서 사무관을 지낸 자이다.

4·27 대선과 5·25총선에서 표출된 박정희와 민주공화당의 장기집권을 견제하려는 유권자의 의지와 여당의 개헌선 확보 실패 등으로 인해 박정희 정권은 합법적 개헌을 통해 집권 연장이 불가능함을 뼈저리게 인식했다. 그리하여 박정희는 미·소간 냉전 완화와 남북대화 상황을 활용하여 19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이른바 ‘유신’이라는 명목하에 헌법질서를 유린하며 개헌을 단행했다. 대통령 직선제는 폐지되고 이른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이 체육관에서 대통령을 뽑는 간접선거로 바뀌었으며 국회의원의 3분의 1을 대통령이 지목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이렇듯 유신체제는 곧 박정희의 영구집권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장치였으나 결국 국민의 거센 저항을 불러일으켜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암살 사건을 야기해 종말을 맞이하고 말았다.

끝으로 지금껏 7천여 점의 귀중한 소장자료를 기증해준 심정섭 지도위원의 이력을 소개한다. 심위원은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전남대와 호남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일찍부터 교편을 잡아 광주춘태여중, 송원여중, 송원고, 송원여고 교사를 거쳐 2004년 광주송원여자정보고등학교 교감을 끝으로 명예 퇴임했다. 1976년 『수필문학』에 ‘백자항아리’를 발표해 문단에 데뷔했다. 현재 민족문제연구소 지도위원,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 한국문인협회, 한국수필가협회, 광주문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녹조근정훈장, 2012년 민족문제연구소 감사패와 제6회 임종국상 특별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제1수필집 『노루목』, 동시집 『형님 먼저 아우 먼저』(공저) 등 다수의 저작이 있고 일제강점기 자료집 『망국의 통한』, 『통분의 세월』, 『일제의 순사들』 등을 펴냈다.

• 박광종 특임연구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