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는 시민역사관

『풍속화보 임시증간 : 일청전쟁도회·정청도회』(1)

159

[소장자료 톺아보기 56]

표지화로 보는 청일전쟁의 실상
『풍속화보 임시증간 : 일청전쟁도회·정청도회』(1)

➊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78호 일청전쟁도회 제1회』(1894.9.25.)
청일전쟁 관련 기사를 다룬 첫 번째 풍속화보지. 아산만 풍도해전(豊島海戰, 7.25)과 성환에서의 육지전투(7.29)를 상세히 다루었다. 표지화는 풍도 앞바다에서 일본 함대가 청국 순양함 ‘제원’과 ‘광을’을 격침시키는 장면이다.

➋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82호 일청전쟁도회 제4회』(1894.12.20.)
7월 개전 후 일본군은 평양, 의주를 거쳐 북진을 계속해 11월 이후 구련성, 금주성, 대련, 여순을 함락시켜 압도적 우위에 섰다. 표지화에서 보듯이 일본군 장군이 청국군 지휘관을 군기로 깔아뭉갤 정도로 일본군은 승전 분위기에 젖어 있었다.

➌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84호 정청도회』 제5편』(1895.1.25.)
제5편에서는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더불어 조슈(長州) 3걸로 일컬어지는 이노우에 가오루(井上角五郞. 1836~1915)의 조선 체류 기록인 『한성내잔몽(漢城廼殘夢)』(1891.10)을 전재하였다. 이노우에는 임오군란 직후인 1882년말 조선에 건너와 조선의 외교고문에 임명되었고 『한성순보』를 발행했다. 김옥균 등 개화파 인사와 교류하며 갑신정변에 깊이 관여하였고 거사가 실패하자 일본으로 돌아갔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조선과 일본을 왕래했으며 1894년 직후 조선공사로 부임했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한성내잔몽』은 갑신정변 당시의 조선 정세와 외교관계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표지화는 갑신정변 실패 후 다케조에 이치로(竹添進一郞) 공사와 개화파가 일본으로 도주하자 이에 격분한 조선 민중들이 일본공사관을 불태우는 모습을 담았다.

➍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86호 정청도회』 제6편』(1895.2.25.)
1894년 12월초 일본군 제1군사령부는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육상교통로의 요충지인 해성(海城) 공략에 전력을 기울였다. 12월 13일 해성을 점령했으나 청국군의 지속적인 저항으로 양군 간에 1895년 2월까지 격렬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표지화에서는 청국군의 군사정보를 얻기 위해 눈보라 속에서도 산길을 헤쳐나가는 척후 기마병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➎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87호 정청도회』 제7편』(1895.3.10)
일본군사령부는 청국 북양함대의 잔존 함선과 해군기지를 파괴하기 위해 산동반도의 위해위만(威海衛灣) 공략을 결정했다. 12월 20일 산동반도에 해군육전대가 상륙하였고 다음해 2월초까지 위해위만 출입구에 있는 요충지인 유공도(劉公島)와 일도(日島)를 포위하여 정박 중인 북양함대를 무력화시켰다. 위해위만 대격전을 승리로 이끈 사람은 남방파견함대 사령장관인 이토 스케유키(伊東祐亨) 해군중장이다. 표지화에서는 일본 설화에 나오는 유명한 캐릭터인 복숭아 동자(桃太郞)에 빗대어 이토 스케유키 사령장관의 공적을 칭송하고 있다.

➏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92호 정청도회』 제9편』(1895.5.25)
1895년 3월 청국의 전권대사 이홍장이 모지(門司)에 도착해 청일간의 강화교섭이 시작되었다. 대만 할양 문제로 줄다리기하다가 1895년 4월 17일 청일강화조약(시모노세키조약)이 조인되었다. 청국과 조선간의 주종관계 해체, 요동반도와 대만의 영토할양, 2억 냥의 배상금 지불 등 일본에 매우 유리하게 결정되었다. 전시의 최고통수기관인 대본영(大本營)은 개전 직후 도쿄의 참모본부 내에 설치되었다가 1894년 9월 교통 요지인 히로시마로 이전했고 강화조약이 조인되자 교토로 옮겼다. 그 후 다시 도쿄로 복귀했고 청국에게 할양받은 대만의 치안이 안정되자 1896년 4월 해산했다. 표지화는 대본영의 교토 이전 조치로 1895년 4월 26일 일왕 부부가 교토에 도착하자 이를 환영해 시치조(七條)정거장(현재의 교토역) 앞에 개선문 형태의 조형물을 세워놓은 것이다.

『풍속화보(風俗畵報)』는 일본 최초의 화보잡지로서 1889년 창간부터 1916년 폐간 때까지 27년에 걸쳐 특별호를 포함해 총 518권을 발간했다. 에도시대부터 다이쇼시대에 걸쳐 세상사, 풍속, 전쟁, 문학, 역사 등 당시 일본의 사회풍속을 그림과 사진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해설하였다.

이번 달 소개하는 소장자료는 청일전쟁을 집중적으로 다룬 『풍속화보』 임시증간 제78호 (1894.9.25)부터 임시증간 제96호(1895.7.25)까지 모두 10편이다. 분량은 30쪽 내외이며 맨 앞에 컬러화보가 있고 논설과 상세한 전황 기사, 그와 관련된 삽화(20장가량)로 구성되었다.

제호는 처음에 일청전쟁도회(日淸戰爭圖繪)였다가 제5편부터 정청도회(征淸圖繪)로 바뀌었다. ‘청나라를 정벌한다’는 제호에서도 드러나듯이 전반적인 내용은 천황주의와 군국주의적 시각에서 기술되었다. 이 잡지에서 다루는 군사정보는 초창기에 군부에서 제공한 것이 대부분이었다가 제5편부터 종군기자를 전장에 파견해 현장감 있는 전황을 전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정보당국의 엄격한 사전 검열을 거치기는 매한가지였다.

『풍속화보』에 대한 일반인의 반응은 매우 뜨거웠다. 근대식 컬러화보와 삽화를 곁들여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10전’이란 저렴한 가격이어서 1년 남짓한 기간에 13만 5천 부나 팔렸다고 한다.

• 박광종 특임연구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