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지·연혁




주요 연혁
1989 | 임종국 선생 타계. 빈소에서 연구소 설립 발의 |
1991 | 반민족문제연구소 설립(초대소장 김봉우) |
1993 | 제3회 윤상원상 학술연구부문 단체상 수상 |
1995 |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 사단법인 등록(초대이사장 이돈명, 설립인가 1996.6.13) |
지부·지회조직 건설 시작(현재 국내 28개 지부, 5개 지회, 해외 일본도쿄지회 활동 중) | |
1999 | 친일인명사전 편찬지지 전국교수 1만인 선언 |
조문기 2대 이사장 취임 | |
2000 | 박정희기념관반대국민연대 발족(247개 단체), 사무국 설치 |
일제강점기강제동원진상규명시민연대 발족, 사무국 설치 | |
2001 | 한상범 2대 소장 취임 |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창립 | |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출범, 주간연구소 겸 사무국 | |
2003 |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 설치 |
임헌영 3대 소장 취임 | |
2004 | ‘친일인명사전 편찬 국민의 힘으로’ 모금운동 전개 |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 통과 |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시민연대 발족 | |
제16회 심산상 수상 | |
일제강점하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관한특별법 개정안 통과 | |
2005 |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출범(회장 장병화), 임종국상 제정 |
제19회 단재상 수상 | |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1차 명단 발표’ 대국민보고회 | |
야스쿠니신사 문제 다큐 <안녕, 사요나라> 제작- 부산국제영화제 운파펀드·서울독립영화제 대상 수상 | |
임종국 선생 보관문화훈장 추서 | |
제17회 안종필자유언론상 특별상 수상 | |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국가귀속에관한특별법 통과 | |
2006 | 야스쿠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 발족, 사무국 설치 |
2008 | 친일인명사전 수록대상자 명단 발표 |
제17회 참교육상 수상 | |
김병상 3대 이사장 취임 | |
2009 | 안중근의사 의거·순국 100주년기념사업 선포·추진위원회 발족, 사무국 설치 |
진실과미래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창립, 사무국 설치 | |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제정 제5회 한림기록문화상 수상 | |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 | |
2010 | 제21회 사월혁명상 수상 |
강제병합100년공동행동 한국실행위원회 창립, 사무국 설치 | |
2011 | 신흥무관학교100주년 기념사업회 창립, 사무국 설치 |
역사정의실천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 발족 | |
친일·독재 미화와 교과서개악을 저지하는 역사정의실천연대 발족, 사무국 설치 | |
2012 |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창립, 사무국 설치 |
제7회 임창순상 수상 | |
친일인명사전 앱 출시 | |
역사다큐 ‘백년전쟁’ 제작(인터넷보급․공동체상영 등을 통해 300만 이상 관람) | |
2013 | 함세웅 4대 이사장 취임 |
학술행사
1992 식민지배 청산문제의 민족사적 이해
1993 한국현대사와 친일파 청산문제
1995 친일협정, 30년 동안의 굴욕
1996 보훈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1997 민족사적 관점에서 본 역대정권의 대일정책 비교
1999 친일논리의 역사적 변천과 식민유제의 청산방향
1999 한국군과 식민유산
2002 강요된 부역인가 내재된 신념인가-문화예술계의 친일논리와 성격
2003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구조와 논리Ⅰ
2003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한국 기념사업의 현주소
2004 21세기 한국사회와 ‘친일청산’ 문제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구조와 논리Ⅱ
2005 식민지시대 예술 다시 읽기-친일예술의 내적 논리
2006 세계의 눈으로 야스쿠니를 본다-문명과 야만 사이
2007 효창원 성역화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강제성’이란 무엇인가-일본군 위안부 문제
인권·문명·평화의 눈으로 야스쿠니신사를 본다
식민지 경제사의 쟁점과 과제
기업재판에 대한 한국·일본 법원의 판단과 전후 보상
2009 일제의 사법침탈과 안중근 의거
관동조선인학살-식민지범죄, 일본의 국가적 책임을 묻는다
식민지기 재일조선인사회의 형성과 단체활동의 전개
안중근의사 하얼빈의거 100주년기념 국제학술대회
한일 양국의 문서공개로 본 1965년의 한일협정과 청구권 문제
2010 강제병합 100년, 한일과거사 극복의 과제와 전망
일제의 전쟁, 조선인의 삶
2011 ‘전환기의 정의’와 한국 민주주의-‘과거사청산’ 재평가
8․15와 동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위기’와 ‘갈등’을 넘어
한일회담 공개문서와 식민주의 청산 문제
과거에 대한 성찰, 미래를 위한 역사쓰기-친일인명사전의 성과와 과제
2012 유신선포 40년 역사4단체 연합학술대회-역사가, 유신시대를 평하다
민주연구단체협의회 추계학술대회-언론에 재갈을 물려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이대로는 안된다
2013 님이 침묵하는 시대의 문학
한국인 BC급 전범의 역사와 남은 과제
2014 3‧1혁명 95주년 기념 학술회의-‘제국’에서 ‘민국’으로
2015 화성지역 독립운동 관련 역사콘텐츠개발의 현황과 과제
교육 전시
1995 일제침략과 저항의 역사전
1996 사진으로 보는 독립운동사
1998 친일파·독립운동가 사진전
1999 사진으로 보는 민족수난사
2001 일제침략 역사왜곡전
평양 인민문화궁전 1개월간 전시 후 기증, 북한 전역 순회전시
2002 친일예술인과 그들의 작품전
2003 친일음악의 진상전
일제강제동원피해자 명부 전시
2004 식민지조선과 전쟁미술전
해남도에서 일본은 무엇을 했는가?-침략, 학살, 약탈, 성노예화
2006 ‘징게맹갱 외에밋들’-조정래의 아리랑과 식민지 조선인의 삶
2007 기氣와 예藝로 맞선 그들
헤이그 특사 100주년 기념 특별 기획전
‘한시대 다른삶-항일과 친일’ 캐리커처 전시
2008 대한민국 임시정부 27년사
2009 시베리아 억류자 귀환 60주년 기념자료전
침략신사, 야스쿠니
2010 강제병합 100년 특별전-거대한 감옥, 식민지에 살다
2011 해외전시 : ‘한국병합100년’ 특별전-거대한 감옥, 식민지조선에 살다(일본 리츠메이칸 국제
평화박물관 초청전시)
해외전시 : 일제지배하 교과서전(일본 교토YMCA 초청전시)
신흥무관학교설립100주년기획전-조국광복의 꿈, 항일무장투쟁의 산실 신흥무관학교
2012 유신 40년 특별전-식민의 유산, 유신의 추억(전국15개 도시 순회전시 / 관련행사 : 금지곡
콘서트 ‘금지된 것들을 노크하다’, 시민강좌 ‘끝나지않은 유신)
해외전시 : ‘거대한 감옥, 식민지조선에 살다(일본 도쿄 고려박물관 초청전시)
2013 제4회 우리시대 리얼리즘展-일본군 ‘위안부’와 조선의 소녀들
대한광복단 창설 100주년 기념 특별전시 – 그들, 일제의 심장을 쏘다
전범이 된 조선청년들-한국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
2014 시사만화가 33인의 일제만행 고발전
2015 한일협정 50주년 한일공동기획 특별전, ‘나는 싸우고 있다’-한일협정의 장벽을 허무는 사람들
해외전시 : 일본 메이지시대 산업유산군 세계유산 등재 반대 캠페인 특별전 ‘부정적 세계유산과
미래가치’
광복 70주년 특별전-학교로 찾아가는 독립운동 이야기
실천 운동
친일파 기념사업 저지독립운동가 선양사업
한일 교과서 바로잡기동아시아 시민사회 교류
야스쿠니 반대 국제공동행동일제하 강제동원 진상규명과 소송지원
남북공동 학술연구, 자료 교류독도주권수호 활동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운동
시민강좌
2012 유신40주년 기획강좌 ‘끝나지 않은 유신’
2013 끝나지 않은 백년전쟁, 한국 근현대사를 말한다
‘뉴라이트 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
2014 독립투사들이 꿈꾼 나라-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지향과 실천
친일인명사전 발간5주년 특별강좌 ‘다시 보는 『친일인명사전』’
2015 한일협정50년 특별강좌 ‘1965, 그 장벽을 허무는 사람들에게 듣는다’
역사답사
2006 평화통신사로 떠나는 일본역사기행-한일교류의 길을 따라 동북아 평화를 일궈가는
평화통신사
2007 Peace Tour in Japan
2010 경술국치 100년, 한일 평화를 여는 일본역사기행-100년을 딛고 침략의 역사를 넘어
평화를 찾아가는 길
2011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잊혀진 독립군 기지를 찾아서
2012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잊혀진 독립군 기지를 찾아서
2013 시공時空을 넘어, 서울역사산책-전문가와 함께 하는 역사기행
‘조선혁명선언’ 90주년, 화북지역 항일무장투쟁지를 찾아서
2014 독도의 날 기념 울릉도-독도 답사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백산 지청천 장군과 한국독립군 유적지를 찾아서(중국 하얼빈)
연구소와 함께 하는 서울역사산책-갑신정변, 그 삼일천하의 행로를 따라서
2015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식민지 근대의 실상을 찾아서 : 수탈의 현장 군산․김제
‘부민관’과 태평로 – 협력과 저항의 현장을 찾아서
신흥무관학교 옛터 답사 – 한국광복군과 조선의용대 유적지를 찾아서(중국 서안・연안)

